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전

동기-위생 이론

by 굿라이브러리 2024. 1. 16.
반응형

동기-위생이론(Motivation-hygiene Theory)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요인에 따라 직무 만족과 불만족이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두 가지 요인은 동기 요인(Motivator Factors)과 위생 요인(Hygiene Factors)으로 나누어집니다.
동기 요인 (Motivator Factors)
1. 성장(Growth): 개인의 역량 향상, 자기계발, 새로운 도전에 대한 기회
2. 성취(Achievement): 업무에서 목표 달성과 성과에 대한 인정
3. 인정(Recognition): 성과에 대한 인정과 칭찬
4. 책임(Responsibility): 자기 주도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책임을 맡을 수 있는 기회
5. 업무 자체(Task itself): 일 자체가 흥미롭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는 특성
동기 요인은 직무 만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서, 업무 자체에 대한 특성을 강조합니다. 주로 내적인 만족과 관련이 있으며, 개인의 성장, 성취, 인정, 책임, 업무 자체의 흥미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동기 요인들이 높을수록 개인은 더 높은 수준의 직무 만족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생 요인 (Hygiene Factors)

1. 급여(Salary): 적정한 급여 수준
2. 근무 조건(Working conditions): 안전하고 편안한 근무 환경
3. 관계(Social relations): 동료와 상사와의 원활한 대인관계
4. 사회적 지위(Status): 조직 내에서의 인정과 사회적 지위
5. 업무 안전(Job security): 일자리의 안정성과 안정된 직무 환경
위생 요인은 직무 불만족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서, 업무 환경에 대한 특성을 강조합니다. 주로 외부적인 환경이나 조건과 관련이 있으며, 급여, 근무 조건, 사회적 지위, 업무 안전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위생 요인들이 부족하면 직무 불만족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들의 증가는 단지 불만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직무 만족의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동기 요인과 위생 요인은 서로 독립적인 개념이며, 조직은 불만족을 줄이기 위해 위생 요인을 강화하고 직무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동기 요인에 주력해야 한다고 제안하였습니다.

반응형

'심리학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광 효과  (0) 2024.01.18
매슬로우 욕구단계 이론  (0) 2024.01.17
플라시보 효과  (0) 2024.01.15
피터팬 증후군  (0) 2024.01.11
바넘 효과  (0)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