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전

조직 시민 행동

by 굿라이브러리 2024. 1. 1.
반응형

조직 시민 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은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개인의 추가적인 행동이나 활동을 나타냅니다. 이는 직무 요구에 포함되지 않지만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행동들을 말합니다. 조직 시민 행동은 조직 내에서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동료들과 협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조직의 성과와 문화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조직 시민 행동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움적 행동(Helping Behavior): 다른 직원들에 대한 지원과 협력을 나타내며, 동료나 팀원들이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을 주는 행동입니다.
  2. 보너스 행동(Beneficial Behavior): 직무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은데도 조직 전체의 성과나 문화를 개선하는 행동들을 말합니다.
  3. 양호한 시민행동(Civic Virtue): 조직의 규칙과 절차를 존중하고 지지하는 행동으로, 조직의 원활한 운영에 기여합니다.
  4. 체계적 무책임 행동(Sportsmanship): 부정적인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대처하고 불만을 표출하지 않는 행동으로, 조직 내에서의 협력과 팀워크를 강조합니다.
  5. 조직에 대한 예의(Conscientiousness): 일의 품질과 정확성을 중시하며,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행동입니다.
반응형

조직 시민 행동의 주요한 선행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직무 만족(Job Satisfaction):  조직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조직과 자신이 하고 있는 직무에 대해 만족할수록, 조직 구성원이 조직 시민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공정(Impartiality): 조직 구성원이 스스로 지각하고 있는 조직 내의 공정성이 높을수록, 자신이 조직에서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느낄수록 조직 내에서 자발적으로 조직 시민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상사와의 관계(A Relationship With One's Boss): 조직 구성원이 상사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지각할 때 조직 시민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납니다. 조직 구성원이 상사가 자신을 지지하고 있다고 느낄수록 조직 시민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납니다.

조직 시민 행동은 조직의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고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직원들 간의 상호 작용과 조직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의 목표 달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심리학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시보 효과  (0) 2024.01.15
피터팬 증후군  (0) 2024.01.11
바넘 효과  (0) 2024.01.10
죄수의 딜레마  (0) 2024.01.09
피그말리온 효과  (0) 2024.01.08